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 주제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 시대신라시대
  • 저자황 인 규 / 동국대학교(서울) 역사교육과 교수
목차
위로 가기 한국 불교계 삼보사찰의 성립과 지정
황 인 규 / 동국대학교(서울) 역사교육과 교수
1. 머리말
2. 고․중세 불보사찰과 법보사찰의 성립
1) 신라 통도사의 불사리 봉안과
불보사찰
2) 조선초 해인사의 대장경판
봉안과 법보사찰
3. 조선후기 승보사찰의 성립과
삼보사찰의 지정
1) 조선후기 승보사찰의 성립과
송광사 18주지
2) 조선말 불교계의 삼보사찰의 지정
4. 맺음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삼보사찰로 알려진 통도사와 해인사, 송광사는 신라시대에 창건되었다. 삼보사찰은 현행 일부 중등교과서에서도 실려 소 개되는 등 일반화된 상식이다. 삼보사찰의 성립은 우리가 아 는 바와 같이 그리 오래된 일이 아니라 조선말이후에야 성립된 것이다. 통도사는 신라의 고승 자장에 의해 불사리가 봉안되면 서 불보사찰로서의 위상이 지녀왔으며, 해인사는 조선초 법보 인 팔만대장경판이 안치되면서 부터이다. 송광사는 보조국사 지눌이 수선사 결사운동을 전개하면서 그의 문도(손) 15국사 가 배출된 이후이다. 송광사가 승보사찰로서의 위상이 확립된 것은 빨라야 제 16국사로 추념된 고봉법장의 입적이후이지만 16국사로 묶이여 승보사찰로 지정된 것은 그 이후이다. 그 동안 삼보사찰에 대한 연구는 학술적 천착이 이루어진 적 이 없다. 필자는 송광사 16국사의 위상이나 승보종찰로서의 송 광사를 중심으로 논의한 바 있으며, 본고에서는 송광사와 통 도사와 해인사를 포함해 삼보사찰이 성립되는 과정과, 특히 가 장 늦게 승보사찰로 확립된 송광사의 16국사의 추념과 18주지에 대하여 살펴본 후 삼보사찰로 지정된 사실에 대하여 천착하고자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