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동아시아 사리신앙의 전개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고대 동아시아 사리신앙의 전개

  • 주제고대 중국과 일본의 사리영험담 고찰
  • 시대현대시대
  • 저자김춘호(원광대)
목차
위로 가기 고대 동아시아 사리신앙의 전개
-고대 중국과 일본의 사리영험담 고찰
김춘호(원광대)
I. 들어가는 말
II. 고대 중국의 사리신앙
1. 불교의 수용과 사리신앙
2. 불교의 정착과 사리신앙
3. 고대 중국 사리신앙의 특징
1) 사리의 입수 유형 = <전래 및 전승>,<감득>,<우연한 발견>
2) 사리의 신이능력
3) 사리 진위시험
4) 사리신앙의 역할
III. 고대 일본의 사리신앙
1. 일본의 불교전래와 사리신앙
2. 일본불교 정착기의 사리신앙-일본영이기(日本靈異記)의 사리영험담 -
IV. 나오는 말

상세소개
위로 가기

사리는 석존이 남긴 靈骨인 만큼 이에 대한 신앙은 곧 석존을 직접 향한 신앙이라고 해도 좋다. 그러한 까닭에 사리신앙은 불교가 전파된 어느 지역에서든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불교의 보편신앙이기도 하며, 사리를 안치한 불탑 역시 사찰을 구성하는 기본 요건으로서 모든 불교문화권에 중시되어 왔 다.사리신앙은 이러한 보편적 성격을 가짐과 더불어, 그 내용 면에서 해당지역의 지리나 시대, 문화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며 나름의 특성을 만들고 전개된다는 성격을 가지기도 한다. 마치 동전의 양면 처럼 보편성과 특수성을 함께 지닌 것이 사리신앙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사리신앙을 이해하는 것은 곧 해당지역이나 시대의 불교문화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이해하는 중요한 작업이기도 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고는 동아시아 불교문화, 특히 한자불교문화권에서의 사리신앙에 주목해보고자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한자불교문화를 이끌었던 중국에서 사리신앙이 어떻게 수용되고 전 개되는지, 또한 우리나라와 더불어 중국의 한자불교문화의 강한 영향을 받으면서도 나름의 특색 있는 불교문화를 형성·발전시켰던 일본의 경우 사리신앙이 어떻게 수용되고 전개되는지를 알아보자는 것이 다. 바꿔 말하면, 한자불교문화권에서 사리신앙의 수용과 형성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모습이었고, 그 전개양상의 하나로서 일본의 사리신앙이 어떠한 보편성과 특수성을 지니는지 확인해 보자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결국, 크게는 동아시아 사리신앙의 형성과 전개의 한 단면을 파악해 가는 것이며, 좁게 는 우리나라 사리신앙의 객관적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시실 필자의 이러한 의도를 충분히 충족시키려면 고고학이나 문헌학, 건축학 및 문화사학 등의 다 양한 측면이 고려되어 하는 만큼, 한편의 단일논문으로 담아내기는 힘들다. 그러한 점에서 일단 고찰 범위를 고대, 특히 불교의 수용과 초기 정착기로 한정하기로 하겠다. 그리고 이시기 사리신앙의 구체 적 양상을 풍부하게 전하고 있는 사리영험담을 직접고찰 대상으로 삼을 것이다. 다행히 중국의 경우 集神州三寶感通錄에 집약된 형태로 사리영험담들이 전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도 日本書紀 및 日本靈異記에 사리영험담이 전해지고 있어서, 이들의 면밀한 고찰을 통해 불교 수용기와 정착기의 사리신앙의 구체적인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먼저 고대 중국의 사리신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