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
-
佛敎塔의 구조와 탑돌이에 대한 고찰
- 주제- 불교탑돌이의 형성배경과 동아시아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
- 시대현대시대
- 저자염중섭(자현)/ 조계종 교육 아사리
목차
위로 가기 佛敎塔의 구조와 탑돌이에 대한 고찰- 불교탑돌이의 형성배경과 동아시아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
염중섭(자현)/ 조계종 교육 아사리
Ⅰ. 序論
Ⅱ. 불교탑의 구조와 불교의 세계관
1. 불교탑의 건립 대상과 구조
2. 불교의 세계관과 불교탑
Ⅲ. 탑돌이의 기원과 동아시아적인 변화
1. 인도의 예법과 右遶三匝
2. 중국탑의 변형과 탑돌이의 변화
Ⅳ. 結論
상세소개
위로 가기탑돌이는 영산재·수륙재·연등제와 더불어, 한국불교의 무형문화를 대표하는 세계 속의 불교 문화이다. 특히 영산재와 수륙재가 作法을 담당하는 승려에 크게 의존하는 불교 내적인 속성 이 강하다면, 연등제와 탑돌이는 누구나 손쉽게 동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넓은 외연을 확보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탑돌이에 대한 관점환기는, 문화가 힘이 되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고도 절실한 시대과제라고 하겠다. 탑은 화장 후 발생하는 장묘문화와 관련된 추모의 한 특징적인 건축형태이며, 탑돌이는 이 러한 탑에 대한 존숭방식이다. 그러므로 탑돌이에는 필연적으로 탑의 존재라는 선행배경이 요 청된다. 본고에서는 탑돌이의 성립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 먼저 제Ⅱ장을 통해 ‘불교탑 의 구조와 불교의 세계관’에 대해서 검토해 본다. 탑은 불교 이전 인도의 배경문화에서 발견 된다. 그러나 불교는 이를 수용하는 과정에서, 建塔의 주체를 제한하고 건탑의 장소와 형태 및 장엄방법에서 불교적인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즉 인도탑과는 다른 불교탑만의 특징이 살 펴지는 것이다. 이는 불교탑돌이의 성격과 방식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배경이 된 다. 또 탑에는 존숭의 대상을 높이는 면이 있는데, 인도전통의 우주론이 불교식으로 변화한 수 미산 우주론과 연결되는 부분이 목도된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검토는 종교대상으로서 불교탑 이 가지는 상징에 대한 이해를 증대시킨다고 하겠다. 제Ⅱ장을 바탕으로 제Ⅲ장 ‘탑돌이의 기원과 동아시아적인 변화’에서는, 불교탑의 특징과 인 도의 전통예법인 右遶三匝이 결합된 탑돌이문화에 대해서 정리해 본다. 이를 통해서 우리는, 유목문화에 기반을 둔 右遶가 변화하여 탑돌이가 되는 측면을 인식해 볼 수가 있다. 다음으로는 인도불교적인 탑과 탑돌이가 동아시아의 중국문화권으로 전래하면서, 어떻게 탑 의 형태변화와 탑돌이문화의 변화를 수반하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서 동아시아의 탑 은 중국전통의 明堂건축과 관련되어 있으며, 탑돌이는 辟邪문화와 결합하여 밤과 연관된 燈을 밝히는 燃燈탑돌이가 주류가 되는 측면을 이해해 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