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國遺事』 五臺山 관련기록의 내용분석과 의미Ⅰ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三國遺事』 五臺山 관련기록의 내용분석과 의미Ⅰ

  • 주제慈藏의 文殊信仰을 중심으로
  • 시대현대시대
  • 저자X
목차
위로 가기 『三國遺事』 五臺山 관련기록의 내용분석과 의미Ⅰ
Ⅰ. 序論
Ⅱ. 자장의 入唐목적
1. 자장과 중국오대산 문수신앙
2. 자장과 終南山의 불교
Ⅲ. 자장의 문수친견 장소
1. 문수친견 장소의 출입
2. 太和池의 타당성
Ⅳ. 한국오대산의 개창 문제
1. 중국과 한국오대산의 문수신앙 관계
2. 한국오대산과 자장의 행보
Ⅴ. 結論

상세소개
위로 가기

『삼국유사』의 오대산 관련 항목은 塔像第四의 말미 부분에 「臺山五萬眞身」·「溟州(古河西府 也)五臺山寶叱徒太子傳記」·「臺山月精寺五類聖衆」·「五臺山文殊寺石塔記」의 4편에 걸쳐 있다. 이는 신라의 대표사찰인 황룡사가 「皇龍寺丈六」·「皇龍寺九層塔」·「皇龍寺鐘 芬皇寺藥師 奉德 寺鍾」·「迦葉佛宴坐石」의 4편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분명 특기할 정도로 많은 것이다. 물론 오대산은 황룡사가 단일 사찰인 것과는 달리, 오대산 전체와 월정사를 아우르고 있다는 점에 서 단순비교는 불가능하다. 그러나 그럼에도 『삼국유사』에 실린 오대산 관련 항목들은 분명 상대적으로 많다. 이는 오대산이 차지하는 『삼국유사』 편찬 당시의 위상을 반영하는 것이 아 닌가 한다. 그런데도 지금까지 이와 관련된 정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론 오대산의 신앙체계와 관련된 이해에 있어서는, 지금까지 중국오대산 등과 관련된 여러 논문들이 발표된 바 있다.1) 그러나 이러한 부분적인 측면 말고 전체적인 내용에 있어서는 일 관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고는 『삼국유사』의 오대산 관련 기록들 중 먼저 오대산 의 개창자로 전해지고 있는 慈藏에 대한 부분을 정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자장은 『삼국유사』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승려이다. 그 빈도수는 의외로 元曉나 義湘과 같 은 영향력이 큰 인물들을 압도 한다. 또한 자장과 같은 경우는 明朗이나 惠通과 같은 밀교승 려 보다도 오히려 더 신이한 특성이 강하다. 이러한 자장의 인물적인 특징이 자장이 많은 기 록들 속에 존재하는 한 이유가 된다. 또한 이는 동시에 자장에 대한 검토가 학문적으로 매우 어려운 작업이라는 것을 나태나는 것이기도 하다. 오대산의 개창과 관련되어 가장 중요한 자료는 「臺山五萬眞身」조이다. 그런데 이 기록은 자 장과 관련된 다른 기록들과 서로 다른 차이들을 나타내 보이고 있어 문제가 있다. 본고는 「대 산오만진신」조를 중심으로 하는 오대산 관련 기록들을, 다른 자장 관련 문헌들과 대조해 가면 서 그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한다. 여기에서 검토되는 자장관련 문제들은 ‘자장이 중국오대산을 찾은 시기’와 ‘자장이 문수를 친견하는 장소’, 그리고 ‘자장이 과연 귀국 후 한국오대산을 찾았는가의 타당성’에 관한 것 등 이다. 이러한 문제들은 「대산오만진신」조를 중심으로 하는 오대산 관련 기록들에서 살펴지는 것인 동시에, 자장과 관련된 다른 기록들과는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문제들 에 대한 정리를 통해서, 우리는 1차적으로 오대산불교와 관련된 보다 명확한 인식을 확립해 볼 수가 있다. 그리고 2차적으로는 자장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를 확보해 보게 된다. 한국불교는 특수한 절을 중심으로 신앙체계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오 대산과 같이 하나의 산 전체가 불교신앙의 성지가 되는 경우는 金剛山과 더불어 매우 이례적 이라고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이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정리와 이해는 한국불교의 올바른 이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된다고 하겠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