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축사적 의미와 가치 > 학술자료실

화엄선 연구소 소개

오대산 역대 선지식

학술 자료실

특별강연자료실


학술자료실

학술자료실


본문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축사적 의미와 가치

  • 주제오대산 중대 적멸보궁 학술세미나
  • 시대현대시대
  • 저자도윤수(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목차
위로 가기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의 건축사적 의미와 가치
도윤수(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Ⅰ. 머리말
Ⅱ. 적멸보궁 건축연혁
Ⅲ. 2중 평면과 지붕가구
Ⅳ. 적멸보궁의 다포구성
Ⅴ. 맺음말 –적멸보궁의 건축사적 의미와 가치

상세소개
위로 가기

평창 오대산 중대 적멸보궁(이하 ‘적멸보궁’이라 한다)은 이미 1971년에 강원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될 만큼 상당히 일찍부터 그 가치와 의미가 주목되고 있었 다. 다만 당시에는 진신사리 보장처의 의미가 두드러져 영축산 통도사, 설악산 봉정암, 사자산 법흥사, 태백산 정암사와 함께 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 중 하나라로 안내되었다. 이후 2018년 7월 4일에 ‘국내에서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내·외부 이중구조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내부 건축물은 구조, 장식 측면에서 조선 전기의 다포식 목조건축 양식을 잘 유지하고 있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할 만한 건축적, 예술적, 학술적 가치가 충분하다’는 평가를 바탕으로 보물로 승격되었다. 지정 사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적멸보궁은 고려말 조선전기의 건축 양식을 충실히 보여줌과 동시에 내외부 2중 구조라는 독특함은 국내에서는 유일한 사례로 한국건축사는 물론 문화재적인 측면에서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적멸보궁의 내외부 2중 건축물은 각기 시대를 달리하여 각각의 건축양식도 다르게 나타난다. 외부 건축물은 익공을 사용한 팔작지붕의 정면3칸, 측면 2칸의 건축물이고, 내부 건축물은 다포를 사용하여 정면 3칸, 측면 2칸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내부 건축물에서 보이는 의장양식과 구조형식 으로, 남북한 합쳐서 7동 정도만 남아 있는 조선전기 다포 건축물과 많은 유사점이 있어, 양식검토를 통하여 건축물의 편년과 한국건축사에서의 의미를 살펴볼수 있다.

본 발표문에서는 그동안 진행된 학술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적멸보궁 건축의 연혁을 정리해 보고, 평면과 다포양식 등 지정 당시 평가된 내용을 되짚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적멸보궁이 우리나라 건축사에 있어서 어떠한 가치와 의미를 지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첨부파일


대표 : 퇴우 정념스님 주소 :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오대산로 374-8 전화 : 033-339-6800 / 팩스:033-332-6915
COPYRIGHT © 화엄선연구소 ALL RIGHTS RESERVED.